투자전략
-
[경제분석] 6월 미국 고용: 둔화 추세 유지
미국 고용은 예상을 상회했습니다. 정부 고용이 크게 늘었기 때문입니다. 민간 고용 약화, 장기 실업자 증가 등을 고려하면 하반기에도 고용 둔화 추세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국내외 경제 최규호 2025.07.04
-
[경제분석] 6월 미국 ISM 제조업: 회복 신호 부족
미국 ISM 제조업지수는 예상을 소폭 상회했습니다. 생산이 회복을 주도했기 때문입니다. 다만 여전히 산업 담당자들이 관세 불확실성을 우려하고 있는 만큼, 업황 개선에는 시간이 필요해 보입니다.
국내외 경제 최규호 2025.07.02
-
[경제분석] 6월 한국 수출: Non-IT 반등
일평균 수출이 올해 최대치를 다시 경신했습니다. 반도체가 사상 최대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반도체 이외 수출도 회복됐기 때문입니다. 하반기 관세 불확실성이 완화되면, 수출 증가율도 반등할 전망입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5.07.01
-
[경제분석] 5월 한국 산업활동동향: 완만한 내수 회복 기대
5월 국내 경기는 약해졌습니다. 관세 우려가 이어지며 생산과 투자가 줄었기 때문입니다. 관세 불확실성이 당장 해소되기는 어렵지만, 심리 개선에 정책 효과가 더해지며 내수는 완만하게 회복될 전망입니다.
국내외 경제 최규호 2025.06.30
-
[경제분석] 계산된 미래 시리즈 ② 관세 33%
모형을 통해 산업별, 국가별 최적관세를 추정한 결과, 미국은 산업별 특성과 경쟁 구도를 고려해 관세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관세정책이 달러화 패권 유지와 자국 산업 보호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는 형태로 진행된다면, 반도체와 철강, 석유/화학 등 일부 국내 산업이 기회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국내외 경제 최규호 2025.06.25
-
[경제분석] 5월 미국 소매판매: 관세 우려에 대응하기
미국 소매판매는 예상을 하회했습니다. 내구재와 주유소 판매가 부진했기 때문입니다. 관세 우려에 따른 소비자들의 보수적인 대응 이어지며, 당분간 소비는 완만하게 둔화될 전망입니다.
국내외 경제 최규호 2025.06.18
-
[경제분석] 5월 중국 실물지표: 관세를 버티는 소비
중국 실물지표는 양호했습니다. 생산과 투자가 둔화됐지만 소비가 예상을 상회했습니다. 당국의 내수 정책 가속화를 고려하면, 향후 성장도 소비가 주도할 것이라 예상합니다.
국내외 경제 최규호 2025.06.16
-
[경제분석] 수출 3대장
수출 반등 실마리를 찾기 위해 수출단가와 물량을 살펴봤습니다. 하반기에는 반도체, 기계, 석유/화학제품의 수출 회복이 두드러질 전망입니다. 시장의 관심이 실적과 관세 영향으로 이동하면, 수출단가와 물량이 양호한 이들 품목의 매력이 부각될 것입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5.06.13
-
[경제분석] 5월 미국 CPI: 순탄치 않을 둔화
미국 물가는 예상을 하회했습니다. 상품과 서비스 물가 상승 압력이 강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향후 물가 둔화는 이어지겠지만, 둔화 경로는 울퉁불퉁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국내외 경제 최규호 2025.06.12
-
[경제분석] 5월 미국 고용: 점진적인 둔화
5월 미국 고용은 양호했습니다. 서비스업 고용이 늘었기 때문입니다. 하반기에도 고용은 약해지겠지만, 노동시장으로 돌아오는 인구가 늘고 있어 위축보다는 완만한 둔화에 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국내외 경제 최규호 2025.06.09